케이스에 달린거라서 쉽게 꽂았다 뽑았다 할 수 있어서 간단하게 재봤다. 뭐 어떤 규격의 제품을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꽂지 않고 있을 때는 64W에서 꽂아서 3단계 속도 조절 가능 슬라이드에서 최대로 높일 때까지 69W까지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생각보다 많이 소모하는 것 같아서 그리고 일단 겨울이라 별 문제가 없어서 빼놓고 사용중이다. MFC(잘만에서 출시된 전력 측정 어댑터)를 달고 나서부터는 1W에도 뭔가 집착하는 모습을 발견한 나 -_-; 사실 별건 아닌데 그래도...ㅋㅋ
개요 일전에 TV카드를 무시못한다는 파코즈의 댓글을 보고 한 번 검사해 봐야겠다는 참에 벼르다가 오늘 해 보았다. 사실 그렇게 오래 걸리는 일도 아닌데 귀차니즘이 뭔지... 환경 일단 시스템은 브리즈번 4200+(저전력 세팅 0.975V CPU voltage 하지만 기가보드라서 1.000V가량 들어감) MA78GM 기가바이트 780G 메인보드 RAM 1G 2개 랩터 36G 1개 Maxtor HDD 200G 1개 삼성 ODD 1개 MFC2 정보 표시 LED 1개 여기에 가지고 있는 HDTV 수신 카드인 SKY HDTV PCIe 를 장착 했을 경우와 아닐 경우를 테스트 해보았다. 물론 측정은 잘만에서 나온 MFC2로... 실험 결과 먼저 뽑고 없는 상태로는, IDLE : 65W 다시 PCIe 슬롯에 장착 후..
사실 좀 극단적인 예이기는 하지만 오버클럭이 얼마나 전력을 많이 먹는지 보여주기 위한 (사실 나 자신도 많이 놀랐다.) 실험이랄까?? 암튼 쭉 보시라~ 기본 실험 환경!! 컴퓨터의 사양 CPU : 브리즈번 4200+ 기본 쿨러 VAG : Gigabyte MA78GM에 딸린 780G 내장 그래픽 RAM : DDR2 1G X 2 HDD : Raptor 10krpm SATA 1x + Segate 32M 500G 7200rpm SATA 1x + Maxtor PATA 200G 7200rpm 1x ODD : SAMSUNG SATA 1x Extra : ZM-MFC2, 120m fan USB : 무선 마우스 동글 1개, 블루투스 동글 1개 얼마전에 구매한 ZM-MFC가 물려있다. 전력은 거의 먹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
ZM-MFC2를 구매한 기념으로 107+의 전력 소모량을 측정해보았다. 스샷은 -_-; 디카가 없는 관계로 일단은 제껴제껴~ 107+은 1 bay로 물린 하드는 저전력형 Hitachi 500기가 하드 모델명은 HDP725050GLA360 이다. 30W : 초기 구동시에는 30W까지 육박한다. 아마 전력 충전이 되는 과정이라서 전력소모가 많이 되는 것 같고 이는 순간적으로 5초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13W : Idle상태의 전력 소모량이다. 14~15W : FTP를 이용하여 파일 복사의 경우 15~16W : 웹어플리케이션 File station을 이용하여 파일 복사의 경우 14~15W : 일반적인 웹페이지 탐색은 Idle 상태의 13W정도이고 제로보드 XE의 경우 컨텐츠가 많지 않은 페이지를 탐색할때 ..
첫번째, U3 실리콘 케이스와 USB AC adapter 기존에 사용하던 것들이 고장이나서 USB AC adapter를 추가로 구매하였다. iSPEAKER 라는 곳에서 각종 주변기기를 생산하는데 실리콘 케이스와 USB AC adapter의 세트 상품이 있길래 구매하였다. Adapter는 멀티탭에 꽂았을 경우에 다른 코드와 공간 간섭이 일어나면 안될텐데 하는 걱정이 들게하는 크기이며 실리콘 케이스는 터치 방식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채용하고 있는 U3가 혹시나 조종이 안되면 어떡하나 싶은 걱정이 든다. 뭐 일단 내일 배송이 와보면 알겠지. 두번째, 잘만 ZM-MFC2 저소음 솔루션의 잘만에서 나온 팬 컨트롤, 온도 측정, 전력 소모량 측정이 가능한 5.25 베이 장착용 PC 악세시라이다. 요새 공유기 허브 등..